연구소 주요성과
ㅤ강원대학교 환경연구소는 설립 이후 30년 이상 축적된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수질, 대기, 토양, 폐기물, 생태, 환경보건 등 환경의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고 깊이 있는 연구 성과를 창출해 왔다.
물 환경 분야
- 강원도 내 주요 호수 (소양호, 의암호 등) 및 하천의 수질 특성 및 오염원 분석 연구
- 농업, 축산, 산업 활동으로 인한 비점오염원의 발생 및 이동 경로 규명
-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최적 관리 방법(Best Management Practices, BMPs) 개발 및 적용 연구 (인공 습지, 침투 도랑, 저류지 등)
- 유역 모델링을 통한 수질 예측 및 관리 방안 제시
- 기후변화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대응 방안 연구
- 상수원 보호 구역의 수질 관리 및 개선 방안 연구
- 정수 처리 공정 효율 개선 및 새로운 처리 기술 개발 연구
- 하·폐수 처리 기술 개발 및 에너지 자립형 처리 시스템 연구
- 호수 및 하천 생태계 구조 및 기능 분석
- 외래종 유입이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평가 및 관리 방안 연구
- 기후변화에 따른 수생 생물 분포 변화 연구
- 생태 독성 평가를 통한 수질 환경 건전성 진단
- 하천 복원 및 생태 하천 조성 기술 개발
-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지표 개발 및 적용
대기 환경 분야
- 강원도 지역 대기 오염 물질 (미세먼지, 오존, 질소산화물, 황산화물 등) 농도 및 발생원 분석
- 장거리 이동 대기 오염 물질의 영향 평가
- 산성비 생성 메커니즘 및 생태계 영향 연구
- 실내 공기 질 관리 및 개선 방안 연구
- 대기 오염 저감 기술 개발 (흡착, 촉매, 막 분리 등)
- 기상 조건이 대기 오염 확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예측 모델 개발
- 대기 질 모델링을 통한 정책 효과 분석
- 강원도 지역 기온 및 강수량 변화 추이 분석 및 미래 예측
- 기후 변화가 농업, 산림, 수자원 등 자연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평가
- 기후 변화 적응 및 완화 기술 개발 연구
- 탄소 배출권 거래제 관련 연구
-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 개발 및 적용 연구
토양 환경 분야
- 광산, 산업 단지, 농경지 등 토양 오염 실태 조사 및 오염원 분석
- 중금속, 유기 오염 물질 등 토양 오염 물질의 이동 및 확산 경로 연구
- 토양 오염 복원 기술 개발 (생물학적 정화, 물리화학적 정화 등)
- 오염 토양 정화 후 토지 이용 방안 연구
- 토양 생태계 건강성 평가 및 복원 연구
- 토지 피복 변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
- 지속 가능한 토지 이용 계획 수립 연구
- 산림 토양의 탄소 저장 능력 평가
- 농업 활동이 토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 연구
폐기물 관리 및 자원 순환 분야
- 강원도 지역 폐기물 발생량 및 성상 분석
- 폐기물 처리 기술(소각, 매립, 재활용 등) 효율성 평가 및 개선 연구
- 유기성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 개발 (혐기성 소화, 바이오가스 생산 등)
- 폐기물 매립지 환경 관리 및 사후 관리 방안 연구
- 폐기물 재활용 기술 개발 및 경제성 분석
- 순환 경제 사회 구축을 위한 정책 연구
- 건설 폐기물 재활용 방안 연구
환경 보건 및 독성 분야
- 미세먼지, 중금속 등 환경 오염 물질의 인체 노출 경로 및 건강 영향 평가
- 환경성 질환 발생 메커니즘 연구
- 생체 모니터링을 통한 환경 오염 노출 평가
- 생물학적 지표를 이용한 환경 독성 평가 방법 개발
- 나노 물질의 환경 독성 및 인체 안전성 평가
- 새로운 화학 물질의 환경 및 건강 위해성 평가
환경 정책 및 사회과학 분야
- 국내외 환경 정책 분석 및 효과 평가
-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 제시
- 환경 규제 및 경제적 유인 정책 연구
- 지역 사회 환경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
- 환경 문제에 대한 시민 인식 조사 및 개선 방안 연구
- 환경 거버넌스 및 이해 관계자 참여 연구
K-연어 사업화 분야
- K-연어 관련 기술교류회 출범
- 관련 분야 연구자 및 기업 종사자 기술교류회 추진
- 동원산업(주) 강원도 연어 양식 사업 참여
- 기업, 기관 등과 업무협약 추진을 통해 K-연어 산업 활성화